플레어네트워크

플레어 네트워크 용어 정리

by 스리포터 2021. 6. 8.
반응형

플레어 네트워크(Flare Network)는 리플(Ripple)사에서 자신들이 발행한 리플(XRP)토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투자해 개발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입니다. 스파크 토큰(FLR)을 네이티브 토큰으로 사용하며 기존의 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1년 6,7월 중으로 출시 예정입니다. 플레어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디앱(혹은 댑, DApp, Decentralized Application)으로는 디파이 시스템인 플레어 파이낸스(Flare Finance), 가격 제공역할을 하는 플레어 오라클(FTSO, Flare TIme Series Oracle), 그리고 NFT 플랫폼인 스파클스(Sparkles) 등이 있습니다. 향후 더 많은 디앱들이 출시되며 생태계가 계속 확장될 것입니다. 

Flare Network의 상징 로고.

 

플레어 네트워크는 기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단점을 보완하며 새롭게 출시되는 만큼 다소 생소한 용어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제까지는 볼 수 없던 새로운 개념들 때문에 헷갈릴 수 있으므로 이런 용어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이 포스팅은 플레어 네트워크의 FTSO 커뮤니티인 ftso.uk에서 발행한 Flare Network Glossary를 참고해 작성합니다. 원문을 단순히 번역하기 보다는 배경지식이 없는 분도 최대한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 작성하였습니다. 알파벳 순서로 되어있습니다.

출처: ftso.uk

 

Agent(에이전트): 스파크토큰(FLR)을 F자산을 만드는데 담보로 제공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그 대가로 일정 수수료를 받습니다. 

 

Avalanche(아발란체): 새로운 합의 프로토콜인 FBA(Federated Byzantine Agreement)를 적용한 오픈소스 플랫폼입니다. 플레어 네트워크는 기존의 작업증명(PoW, Proof of Work),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확장성이 좋고 안전하며 탈중앙화된 FBA를 채택했습니다. 

 

Blockchain(블록체인): 디지털 데이터와 트랜잭션 등을 조작이 불가능하게 안전하게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조작이 매우 어려우면서도 누구에게나 개방적이라는 특성 때문에 활용가치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Collateral Resrevation Fee(담보 예약 수수료): F 자산을 발행하려는 오리지네이터가 플레어 네트워크에 지불하는 수수료입니다. 

 

Consensus(합의): 과반의 플레어 네트워크 참여자가 특정 값이나 트랜잭션에 동의하는 것입니다.

 

Coston(코스톤): 플레어 네트워크의 공개 테스트 넷 이름응로 Martha J. Coston(1826-1904)를 기리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Creation Fee(생성 수수료): F 자산을 만드는데 추가적으로 필요한 토큰으로, 예를 들어 XRP로 FXRP를 만든다면 오리지네이터는 에이전트에게 5%의 XRP를 추가로 지불해야 합니다.

 

Defi(디파이): Decentralized Finance의 약자로,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입니다. 탈중앙화 되었기에 중개자 없이 p2p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Delegation(위임): 각 개개인이 매번 플레어 네트워크에서 활동에 참여하기 힘드므로 자신의 참여권을 특정 기구나 단체에 부여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FTSO에 스파크 토큰의 가격을 투표할 때 개인이 정확히 맞추기 힘드므로 비트루(bitrue)같은 단체에 자신의 투표권을 위임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자신의 스파크 토큰을 넘긴다거나 어떠한 비용도 지불할 필요가 없습니다. 

 

EVM(이더리움 가상 머신): Ethereum virtual machine의 약자로 블록체인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의미합니다. 이 플랫폼에서 개발자들이 Dapp을 만들 수 있습니다.

 

FBA(연합 비잔틴 동의): Federated Byzantine Agreement의 약자로, 플레어 네트워크에서 지분증명, 작업증명 합의 프로토콜 대신에 채택한 것입니다. 비잔틴 장군 문제(The Byzantine Generals' Problem)에서 따온 이름으로, 비잔틴 장군문제가 갖는 딜레마를 해결한 것으로 기대받고 있습니다. 

 

F-Assets(F 자산): 타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산이지만 FTSO 투표를 통해 플레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된 토큰들입니다. 예를 들어 리플(XRP)를 F 자산으로 만들면 FXRP가 됩니다.

 

FTSO(플레어 오라클): Flare Time Series Oracle의 약자로 타 네트워크 자산과 스파크 토큰 사이 가격 비율을 투표를 통해 결정하는 시스템입니다. 

 

FCP(플레어 합의 프로토콜): 플레어 네트워크에서의 합의 프로토콜로, 투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FBA와 Stellar Consensus Protocol을 활용합니다. 

 

Governance(거버넌스): 블록체인을 관리하고 새로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플레어 네트워크 참여자들은 코드 업데이트를 통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고 스파크 토큰 보유자들은 투표를 통해 이 의견을 수용할지 거부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거버넌스라 부릅니다.

 

Liquidity Pool(유동성 풀):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묶인 자산들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산들은 대출, 토큰 교환 등에 사용되며 블록체인 생태계가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Metaverse(메타버스): 가상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로, 가상현실을 조금더 진보된 개념입니다. 메타버스는 가상으로 만들어낸 공간과 실제 공간이 만나는 곳으로 가상과 인터넷, 그리고 우리가 실제사는 물리 세계가 모두 어우러진 것입니다.

 

NFT(대체 불가 토큰): Non-Fungible Token의 약자로, 고유한 가치를 지니는 모든 디지털 자산들을 의미합니다. 여기에는 스포츠 스타 카드부터 게임 아이템, 가상 미술품, 가상 부동산까지 다양한 디지털 자산이 해당됩니다. 대다수의 NFT는 현재 이더리움 기반으로, ERC-721 혹은 ERC-1155 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Oracle(오라클):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특정 값이나 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외부의 third-party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입니다.

 

Originator(오리지네이터): 플레어 네트워크에서 타 네트워크 자산, 예를들어 리플(XRP), 도지(DOGE), 라이트코인(LTC), 스텔라 루멘(XLM)으로 F 자산을 만들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각 자산을 플레어 네트워크로 보내 FXRP, FDOGE, FLTC, FXLM을 만들 수 있습니다.

 

Redeemer(리디머): F 자산을 플레어 네트워크에 다시 상환하여 F 자산을 만드는데 들어갔던 자산을 되찾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Redemption Fee(상환 수수료): 리디머가 플레어 네트워크에 F 자산을 상환할 때 스파크 토큰을 제공했던 에이전트에게 지불하는 수수료로, 동일한 F 자산이 상환 수수료로 빠져 나갑니다. 예를 들어, FXRP를 상환한다면 소정의 FXRP를 에이전트에게 상환수수료로 지불해야 합니다. 

 

RPC(원격 절차 요청): 한 프로그램에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프로그램으로 특정 작업을 요청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플레어 네트워크를 예로 들자면 플레어 파이낸스에서 FTSO에 어떤 요청을 보낼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SDA(스파크 기반 어플리케이션): Spark Dependent Application의 약자로, 스파크 토큰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Signal Provider(시그널 제공자): FTSO에 스파크 토큰 가격을 제안해주는 단체로, 스파크 토큰을 보유한 개인은 이들에게 자신의 투표 권한을 위임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비트루(BItrue)가 있습니다.

 

Smart Contract(스마트 컨트랙트):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설정한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리플은 자신들의 토큰인 XRP에 없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플레어 네트워크 개발에 투자하였습니다.

 

Spark Token(스파크 토큰, FLR): 플레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토큰입니다.

 

State-Connectors(스테이트 커넥터): 플레어 네트워크 밖의 다른 시스템과 플레어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XRPL이 대표적입니다.

 

Transaction Fee(트랜잭션 수수료):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필요한 수수료입니다. 이 수수료는 처리해야할 트랜잭션이 얼마나 몰려 있는지 등 일반적으로는 시장 상황에 크게 의존합니다. 

 

Tokenization(토큰화): 사업 전략, 상품, 서비스 등을 블록체인이나 다른 시스템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Turing Complete(튜링 컴플리트): Turing Machine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튜링 컴플리트는 천재 컴퓨터 과학자 Alan Mathison Turing의 논문을 바탕으로 나온 개념으로, 충분한 시간과 메모리 공간등 자원만 확보된다면 아무리 복잡한 문제와 시뮬레이션도 해결 할 수 있는 기계를 의미합니다. 

 

UNL: Unique Node List의 약자로, 자발적으로 합의 과정에 참여하기로 한 것을 의미합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원화할게 작동하기 위한 일종의 인프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Validator(검증자): 블록체인의 트랜잭션을 검증할 책임이 있는 노드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들에게서 검증이 끝난 트랜잭션은 분산 원장에 저장되게 됩니다.

 

Vote delegation(투표 위임): signal provider 등에게 자신의 투표 권한을 위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련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확인해 주세요.

플레어 네트워크: 스파크토큰(FLR) 활용 법

 

플레어 네트워크: 스파크토큰(FLR) 활용 법

플레어 네트워크는(Flare Network)는 기존에 널리 쓰이던 합의 프로토콜인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프로토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FBA(Federated Byzantine Agreement) 방식의 합의 프로토콜을 채택한 블..

blockchainlaboratory.tistory.com

암호화폐 관련 용어 모음

 

암호화폐 관련 용어 모음

암호화폐에 처음 입문했을때 생소한 단어들 때문에 영상을 봐도 맥락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비슷한 경험을 겪고 계신 분들을 위해 자주 접했던 용어들을 대략적으로 정리

blockchainlaboratory.tistory.com

 

*이 블로그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합니다.

 더 많은 글을 읽고 싶다면 구독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